본문 바로가기
컴퓨터 Tip

윈도우 11 다크 모드 설정법 (다크 테마)

by provider9 2023. 7. 24.
728x90
반응형

다크 모드  란?

윈도우나 인터넷을 할 때 사용하는 창을 보면 색이 대부분 기본값으로 화이트나 밝은 색 계열로 되어 있다.

화면이 밝아 저녁에는 눈이 쉽게 피로해져 전체적으로 어두운 화면을 원하는 사람들이 많이 생겨나 만들어졌다.

이 뿐만 아니라 가독성이 중요한 웹페이지를 제작 할 때도 다크모드를 넣어 만드는 웹페이지들이 많이 생겼났다.

 

 

다크모드에는 내가 원하는 부분만 다크모드로 커스텀 할 수 있는 방법과 

쉽게 한번에 모든 것을 바꿔주는 윈도우(바탕화면) 테마 설정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.

 

 

 

먼저 윈도우(바탕화면) 테마 설정으로 바꾸는 법을 알아보자.

 

 

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 클릭 후 개인설정으로 들어가자

윈도우키 -> 설정 -> 개인설정으로도 가능

 

 

 

테마를 클릭!

 

 

 

두번째에 있는 다크 테마를 선택!

이렇게 설정을 하면 한번에 쉽게 다크 모드를 설정을 해 줄 수 있다.

 

 

 

<다크모드 설정 후!>

 

 

 

728x90

 

다음은 개인설정 -> 색 조정에서 하는 법을 보자. 

 

<참고> 색 조정에서 설정을 할 경우는 바탕화면의 색은 변하지 않는다. 

바탕화면 그림을 따로 사용하는 사용자는 무관하며,

기본 바탕화면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어둡게 하고 싶을 때는 위에 있는 테마 설정으로 변경 하면 된다.

 

 

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 클릭 후 개인설정으로 들어간다.

 

 

 

개인설정에서 색을 클릭!

 

 

 

모드 선택에서 한 번에 설정을 해주고 싶다면 다크로 선택!

원하는 곳만 하고 싶을 경우는 사용자 지정을 선택!

 

 

 

<사용자 지정>

 

사진과 같이 작업 표시줄의 색을 바꾸고 싶을 때는 기본 Windows 모드 선택 쪽을 변경,

사용하는 기본 앱의 색을 바꾸고 싶을때는 기본 앱 모드 선택을 변경 해주면 된다.

 

 

 

 

이렇게 다크 모드는 쉽게 변경이 가능하니 본인 취향에 맞춰 사용해 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. 

728x90
반응형